1. 보고 개요
- 보고 목적: 최근 발생한 정보유출 사건에 대한 사실관계 확인 및 디지털포렌식 분석 결과를 보고하고, 향후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기 위함.
- 조사 범위: 관련 서버 로그, 네트워크 패킷, 사용자 PC 및 외장 저장매체 분석, 메신저·이메일 내역 등.
- 조사 기간: 20XX년 X월 X일 ~ X월 X일.
2. 사건 개요
- 발생 일시: 20XX년 X월 X일 14시경
- 발생 장소: 본사 개발팀 서버 및 직원 개인 PC
- 사건 유형: 내부 직원 계정 탈취를 통한 기밀 문서 외부 반출
- 유출 정보:
• 고객 개인정보 3,200건 (이름, 연락처, 이메일 주소 등)
• 연구개발 관련 기술 문서 12건
3. 디지털포렌식 분석 과정
1. 로그 분석
- 방화벽 및 IDS 로그 확인 결과, 평소와 다른 IP 대역(해외 VPN)에서 관리자 계정으로 반복 접속 시도 확인.
- 특정 시점 이후 정상 근무 시간 외 접근 기록 다수 발견.
2. PC 및 저장매체 포렌식
- 직원 A의 PC에서 외부 USB 저장장치 사용 흔적 확보.
- 파일 전송 시점과 유출 신고 시점이 일치함.
- 삭제된 파일 복구 과정에서 Confidential_Project.pdf 발견.
3. 네트워크 패킷 분석
- 특정 외부 FTP 서버로의 대용량 파일 전송 흔적 식별.
- 암호화되지 않은 전송 방식 사용으로 파일 내용 일부 추출 가능.
4. 이메일·메신저 내역 확인
- 특정 외부 메일 계정과의 비정상적 대용량 첨부파일 전송 이력 발견.
- 해당 계정이 해외 서버 기반임을 확인.
4. 원인 분석
- 기술적 취약점:
• 관리자 계정의 다중 인증(MFA) 미적용
• 외부 저장매체 제어 정책 미흡
- 관리적 취약점:
• 보안 교육 부족으로 피싱 메일 클릭
• 비정상 로그 발생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부재
5. 피해 규모
- 정보적 피해: 고객 개인정보 및 연구자료 유출
- 금전적 피해: 보안 사고 대응 비용, 법적 과징금 및 신뢰도 하락에 따른 잠재적 손실
- 평판적 피해: 언론 보도 및 대외 이미지 실추 가능성
6. 대응 조치
1. 즉각 조치
- 유출된 계정 비활성화 및 전사 비밀번호 변경
- 의심되는 PC 및 저장매체 격리
- 해당 FTP 서버와의 네트워크 차단
2. 사후 조치
-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및 관계 기관 신고
- 피해 고객 대상 통보 및 신용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
- 법률 자문을 통한 소송 대응 준비
7. 재발 방지 대책
- 기술적 보완:
• 전사 계정에 MFA 도입
• DLP(Data Loss Prevention) 솔루션 도입 및 USB 사용 통제
• SIEM 기반 실시간 이상징후 모니터링 강화
- 관리적 보완:
• 정기적인 보안 인식 교육 및 모의 피싱 훈련
• 보안사고 대응 매뉴얼 보완 및 모의훈련 수행
• 내부자 보안 위협에 대한 감사 체계 강화
8. 결론
이번 디지털포렌식 분석 결과, 내부 계정 탈취 및 USB 저장매체 사용을 통한 정보유출이 주요 원인임을 확인하였다. 향후 기술적·관리적 보완책을 병행하여 보안 수준을 강화하고, 유사 사건의 재발을 방지해야 할 것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