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개요
저장장치는 크게 HDD(Hard Disk Drive)와 SSD(Solid State Drive)로 나눌 수 있습니다. HDD는 자기 디스크 기반의 기계적 장치이고, SSD는 반도체 기반의 전자식 장치입니다. 본 보고서에서는 두 장치의 내부 구조와 작동 원리를 비교합니다.
2. HDD 내부 구조 및 작동 원리
- 플래터(Platter): 데이터를 자성으로 기록하는 원판
- 스핀들 모터: 플래터 회전
- 헤드: 데이터 읽기/쓰기
- 액추에이터 암: 헤드를 이동시키는 팔
- PCB(제어 보드): 데이터 처리 및 컴퓨터와 통신
작동 원리: 플래터 회전 → 액추에이터 암 이동 → 헤드가 자성 신호를 읽거나 기록 → 데이터가 캐시를 거쳐 전송.
참고 이미지 링크:
• Anatomy of a Hard Disk Drive - Hardware Secrets: https://tse1.mm.bing.net/th/id/OIP.exlFQp12VixLRAhCRBRTbQHaFj?pid=Api
• Logical & Physical Structure - Infosavvy: https://tse4.mm.bing.net/th/id/OIP.x4Aetk3qSfVPazdpx0CpfQHaGN?pid=Api
참고 동영상 링크:
• Inside a Hard Drive (구조 설명):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pyYM9SkNbaU
• 작동 중 내부 영상: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p-JJp-oLx58
3. SSD 내부 구조 및 작동 원리
- NAND Flash: 데이터 저장 셀(Cell) 집합
- 컨트롤러: 데이터 관리, Wear Leveling, TRIM 등 제어
- 캐시 메모리(DRAM/SDRAM): 임시 저장
작동 원리: 셀 내부에 전자를 저장하여 0/1 표현 → 페이지 단위 쓰기, 블록 단위 삭제 → 컨트롤러가 관리.
참고 이미지 링크:
• SSD NAND Flash 구조 시각화 (본 문서 제작 그림 포함)
4. HDD vs SSD 비교
구분 | HDD | SSD |
저장 방식 | 자기 플래터에 기록 | 반도체 셀에 전자 저장 |
속도 | 느림 (기계적 한계) | 빠름 (전자식) |
내구성 | 충격에 약함 | 충격에 강함 |
소음 | 있음 (회전/이동음) | 없음 |
용량/가격 | 대용량 저렴 | 고용량 비쌈 |
복구 | 자기 흔적으로 복구 가능 | TRIM 등으로 복구 어려움 |
5. 결론
HDD는 가격 대비 용량이 크고 대용량 저장에 적합하지만 속도와 내구성에서 한계가 있습니다. SSD는 속도와 내구성이 뛰어나지만 상대적으로 고가이며, 삭제된 데이터 복구가 어렵습니다. 따라서 백업 전략과 목적에 맞게 두 장치를 병행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