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개요
SSD는 HDD와 달리 데이터를 저장할 때 반드시 '쓰기 전 지우기(Erase Before Write)' 과정을 거쳐야 한다. 이 때문에 불필요한 데이터가 남아 있으면 쓰기 속도가 느려지고, SSD 수명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.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운영체제와 SSD 사이에서 작동하는 기능이 바로 TRIM이다.
2. TRIM 동작 원리
1) 파일 삭제 시 문제점
- HDD는 파일 삭제 시 섹터를 덮어쓰면 되지만, SSD는 블록 단위 지우기(Erase)가 필요하다.
- TRIM 명령이 없으면 SSD는 삭제된 파일이 저장된 블록을 여전히 사용 중으로 인식한다.
2) TRIM 명령
- 운영체제가 파일을 삭제하면 SSD에 '이 블록은 더 이상 사용하지 않음' 신호를 보낸다.
- SSD 컨트롤러는 이를 받아 해당 블록을 미리 지워둔다.
3) 효과
✔ 새로운 데이터를 빠르게 기록 가능
✔ 불필요한 쓰기/지우기 사이클 감소 → SSD 수명 연장
✔ Garbage Collection 효율 증가
3. TRIM 기능 도식화
[파일 삭제 전]
┌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┐
│ 블록 A │ → OS는 '데이터 있음'으로 표시
│ [데이터1] │
└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┘
[파일 삭제 명령 (OS 차원)]
┌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┐
│ 블록 A │ → OS는 '데이터 없음'으로 표시
│ (실제 데이터1 남아있음) ← SSD는 모름
└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┘
[TRIM 동작 후]
┌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┐
│ 블록 A │ → OS가 SSD에 '이 공간은 비워도 된다' 신호 전달
│ [FREE] │ → SSD 컨트롤러가 미리 지워둠 (Erase)
└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┘
[새 데이터 쓰기]
┌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┐
│ 블록 A │ → 새로운 데이터 즉시 기록 가능 (빠른 쓰기)
│ [데이터2] │
└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┘
4. 쉬운 비유
- TRIM 없는 SSD = 낡은 노트 위에 지우개 없이 덧쓰기 → 지저분하고 느림
- TRIM 있는 SSD = 미리 지우개로 깨끗이 지워둔 노트 → 새 글씨를 바로 쓸 수 있어 빠름
5. 결론
TRIM은 SSD 성능과 수명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 기능이다. 운영체제와 SSD가 정상적으로 TRIM을 지원할 경우, 쓰기 속도 저하와 불필요한 셀 마모를 줄이고 안정적인 저장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.